카톨릭 교리

카톨릭 기본 교리 상식

카톨릭이란?

삼위일체

십계명

로사리오 기도

성령의 일곱가지 은혜(성령 칠은)

전례

천주교회의 4대 교리

십자성호

고해성사

1. 고해성사의 효과

① 죄의 용서를 받는다.
② 죄벌의 사함을 받는다.
③ 죄에서 해방시켜 준다.
④ 공로를 회복한다.
⑤ 마음의 평화와 희망을 준다.
⑥ 죄에 대한 저항력을 준다.
⑦ 선에로 이끈다.
⑧ 완덕(完德)에로 나아가게 한다.

2. 죄

죄란 하느님의 뜻을 거스름으로 하느님과의 관계에 상처 를 입히거나 이를 파괴하는 것이다. 아담에 의해서 인간이 본래의 거룩함과 의로움을 잃은 죄적 상태가 인간 개개인에게 전해 내려온다. 이 죄적 상태를 원죄(原罪)라 하고 원죄를 가진 인간 각자가 스스로 범한 죄를 본죄(本罪)라하며 통속적으로 ‘죄’ 라한다.

■ 소죄와 대죄

소죄(小罪)는 하느님과의 우정에 장애를 주거나 하느님과의 관계를 교란시키는 것이다. 그러나 그 관계를 완전히 파괴하는 것은 아니다. 소죄는 사랑을 어기고 해치기는 하지만 사랑을 사라지게 하지는 않는다.
소죄는 고해성사 없이도 참회나 영성체로 사해질 수 있다. 그러나 하느님의 더 큰 자비를 받기 위하여 고백할 자료가 된다.

대죄는 하느님의 법을 크게 어기어 우리의 마음 안에 있는 사랑을 파괴하고, 우리의 최종 목적이며 참 행복이신 하느님께 등을 돌리게 한다. 대죄는 반드시 낱낱이 고백하여야 용서받을 수 있다.

■ 죄의 세 가지 요소

죄는 하느님께서 싫어하시는 행위라는 것을 알고(의식하고) 또 나쁜 행위를 하고 있다는 것을 의식하면서도 자의(自意)로 행할 때 성립된다.

3. 고해성사 예식

■ 고해성사를 받기 위한 준비

고해성사를 받기 전에 혼자서 아래와 같은 단계를 지켜서 준비해야 한다.

① 성찰(省察) : 지은 모든 죄나 잘못을 살펴서 알아냄
② 통회(痛悔) : 알아낸 자신의 죄나 잘못에 관하여 깊 이 뉘우침
③ 정개(定改) : 다시는 죄를 짓지 않기로 굳게 결심함

위 3단계 과정을 반드시 거친 후 자기 죄를 고해해야 한다. 아무리 급해도 고해소에 들어가기 바로 전이라도 이 과정들을 거쳐야 한다. 또 고해 후에는 사제가 정해 주시는 보속을 되도록 빨리 이행해야 한다.

■ 고해소에서 지킬 예의사항

① 기간은 첫 고해인지 또는 지난번 고해로부터 얼마가 지났는지 말한다.
② 죄의 고백은 되도록 간단히 한다.
③ 죄의 고백이 끝났음을 알린다.
④ 사제가 주는 보속을 귀담아 듣는다

■ 고해할 때의 기본사항

① 말소리를 너무 적거나 크지 않게 해야 한다. 듣는 사람은 사제 한사람이면 된다.
② 성찰한 모든 죄에 대해 그 결과만 말해야 한다.

■ 고해성사 예식

(무릎을 꿇고 십자성호를 그으며)
●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. 아멘.
● 제가 범한 모든 죄를 전능하신 하느님과 신부님께 고해 합니다.
● 고해한 지 (몇 일, 몇 주일, 몇 달) 됩니다.
(알아낸 죄를 낱낱이 고백한다. 죄를 고백한 다음 )
● 이 밖에 알아내지 못한 죄도 모두 용서하여 주십시오.
사제는 고백자에게 훈계하고 보속을 준다.
사제는 고백자 머리 위에 두 손이나 오른손을 펴 들고 사죄경(죄를 사해주는 경문)을 외운다.

†  인자하신 천주 성부께서 당신성자의 죽음과 부활로 세상을 당신과 화해시켜 주시고, 죄를 사하시기 위하 여 성령을 보내 주셨으니, 교회의 직무 수행으로 몸 소 이 교우에게 용서와 평화를 주소서. 나도 성부와  성 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이 교우의 죄를 사하나이 다.
● 아멘
† 주님께서 죄를 용서해 주셨습니다. 평안히 가십시오.
● 하느님 감사합니다.
나와서 가능한 대로 빨리 보속을 이행한다.

4. 특수한 고해성사

■ 첫 고해

세례성사를 받은 후 범한 죄를 처음으로 고백하여 영혼의 결백을 되찾기 위해 받는 고해성사

■ 판공성사

교회는 적어도 1년에 두 번, 성탄절과 부활절에 고해성사를 받아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. 이때 본당 주임신부는 성사 받기에 합당하다고 판단되면 성사표를 발부한다. 이 성사표로 고해성사를 받으면 교적에 성사 받은 표를 하여 사목상의 자료로 삼는다. 이를 판공성사(辦功聖事)라 한다.

■ 총고해(總告解)

이미 고백한 죄이지만 인생의 전환점에서 다시 고백하여 사죄 받는 것을 총고해라 한다.  어떤 계기에서 새 출발을 결심할 때 혹시 그간 고해한 것이 잘못되지 않았을까 걱정이 되면 총고해를 하는 것이 좋다.

■ 모고해(冒告解)

솔직한 마음으로 고백하지 않음으로써 성사를 모독함을 모고해라 한다. 제대로 반성도 하지 않고 뉘우침과 결심도 없이 고해성사에 임하는 것이다.

5. 고해성사를 위한 양심성찰

1) 일반성찰

① 진정 회개하고 하느님과 더욱 깊은 사랑의 관계를 맺으려는 뜻으로 고해성사에 임하고 있는가?
② 지난 고해성사 때 잊었거나 빠뜨린 대죄는 없었는가?
③ 받은 보속은 다 했는가?
④ 이웃에게 끼친 손해는 키워 갚았는가?
⑤ 지난 번 결심은 잘 지켰는가?
⑥ 고백한 지 몇 일 되었는가?

2) 제1계

① 하느님께 대한 나의 믿음, 희망, 사랑은 어떠한가?
② 아침, 저녁기도는 충실히 했는가?
③ 성경이나 교회 서적을 정기적으로 읽고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따라 살려고 노력하고 있는가?
④ 하느님께 대한 일은 뒷전으로 하고 현세 일에만 전념 하지는 않았는가?
⑤ 하느님께 감사하는 마음으로 살았는가?
⑥ 실망하여 자포자기 하지는 않았는가?
⑦ 이단이나 미신행위를 하거나 믿은 적이 있는가?
⑧ 하느님의 도우심이 없이도 구원될 수 있다고 자만하였는가?
⑨ 회개하지 않고도 용서를 받을 수 있다고 하느님의 자비를 과신하지는 않았는가?
⑩ 미래에 관계되는 모든 것을 하느님께 맡기기보다 사탄에게 의지한다던가, 죽은 자를 불러내거나, 점 성술, 손금, 궁합, 사주 등에 의지하지는 않았는가?

3) 제2계

① 하느님, 예수님, 성인 성녀, 천사들의 이름을 함부로 부른 적은 없는가?
② 하느님을 원망하지는 않았는가?
③ 하느님께 한 약속을 깨트리지 않았는가?
④ 하느님의 이름을 빌려 맹세하지 않았는가?
⑤ 신앙생활을 현세적인 어떤 이익과 결부시키지는 않았는가?
⑥ 신심생활을 남에게 보이기 위해 하지는 않았는가?
⑦ 신자임을 부끄럽게 여기지는 않았는가?
⑧ 유혹을 받을 때 기도하면서 적극적으로 이겨냈는가?

4) 제3계

① 주일과 대축일 미사에 참례하고 영적 성장을 위해 노력 하였는가?
② 주일을 오락이나 휴식을 취하는 날처럼 지내지는 않았는가?
③ 전례주기에 생활을 맞추어 살려고 노력했는가?
④ 교회일이나 사도직수행을 위하여 얼마나 노력했는가?

5) 제4계

① 부모님에게 효성과 존경과 순명을 드렸는가?
② 성직자와 윗사람에게 마땅한 존경을 드렸는가?
③ 형제자매간에 서로 도우려고 노력했는가?
④ 세상을 떠난 부모, 형제를 위하여 합당한 위령례와 기도와 희생을 드렸는가?
⑤ 자녀들에게 좋은 표양과 교훈을 주려고 노력했는가?
⑥ 자녀의 편애 및 맹목 두둔은 없었는가?
⑦ 자녀들의 교회생활, 가정생활, 윤리생활, 사회생활, 학교생활에 얼마나 관심을 가졌는가?
⑧ 가족이 함께 대화하고 기도할 시간과 분위기를 가지 려고 노력하였는가?

6) 제5계

① 타인의 생명과 육체[건강]에 해를 끼친 적이 있는가?
② 타인에게 원한, 미움 등을 갖거나, 악담, 욕설, 험담등을 하지 않았는가?
③ 불친절하거나 악한 표양을 주거나 죄로 유혹하지는 않았는가?
④ 남의 마음이나 육체에 불편을 준 일은 없었는가?
⑤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 사랑을 베풀었는가?
⑥ 고의로 유산(流産)을 시킨 적이 있는가?
⑦ 교회가 금하는 방법으로 피임하지는 않았는가?

7) 제6계, 제9계

① 부부로서 신의를 지키고 일치를 위한 노력을 적극적으로 했는가?
② 배우자가 아닌 이성에게 정을 품거나 지나치게 접근하지 않았는가?
③ 혼인의 완성을 위한 성욕을 남용하지 않았는가?
④ 감각과 몸을 정결하게 보존하여 성령의 궁전으로서 품위를 지키려고 노력했는가?
⑤ 음란한 생각이나 말이나 행위로 자신을 어지럽히지 않았는가?
⑥ 의식적으로 음란한 그림, 영상, 글을 보려고 하지 않았는가?

8) 제7계, 제10계

① 타인의 재산, 노력, 시간에 직접 손해를 끼친 적이 있는가?
② 자신의 재산, 힘, 시간을 낭비한 일은 없었는가?
③ 남의 재물을 부당하게 취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지는 않았는가?
④ 남에게 빌린 것을 제때에 돌려주었는가?
⑤ 재물에 대한 지나친 욕심에 사로잡혀 있지 않았는가?
⑥ 극심히 빈곤한 이웃을 모른 체한 일은 없었는가?

9) 제8계

① 말로써 남의 명예, 자유, 권리, 생명, 마음에 손해를 끼친 적이 있는가?
② 위로와 칭찬 하기보다 비평하기를 즐기지는 않았나?
③ 진실을 말해야 할 때 침묵함으로써 허위를 진실처럼 만든 적은 없는가?
④ 자기가 한 말에 대해서 책임을 지려고 노력했는가?

10) 교 회[공동체]

① 교회나 국가의 권위를 인정하고 그 가르침과 법을 따르려고 노력했는가?
② 사회의 정의와 평화를 위해 솔선수범하였는가?
③ 권위의식을 갖거나 차별대우를 하지는 않았는가?
④ 노동자와 내게 봉사하는 사람에게 정당한 보수를 주었는가?
⑤ 약속과 의무를 지켰는가?
⑥ 교회에서 요구하는 성사나 예식에 기쁜 마음으로 참여하였는가?
⑦ 교회의 발전을 위해 얼마나 노력했는가?
⑧ 교회 안에서 맡은 임무를 충실히 수행했는가?
⑨ 자기의 잘못과 불행이 교회에 손해를 입혔음을 알고 있는가?

11) 칠죄종

① 자신의 재능이나 건강을 과신하여 은총의 귀함을 생각지 않고 살지는 않았는가?
② 허영심이나 야심에 사로잡혀 분수에 넘치는 행동, 말, 생각을 하지 않았는가?
③ 정(사랑), 돈, 힘을 너무 아껴서 가족의 발전을 막지 않는가?
④ 이웃을 위한 일에 인색하지 않았는가?
⑤ 사랑을 빙자하여 혼외의 성적 쾌락을 탐하려 한 적이 있는가?
⑥ 자기 성질을 이기지 못하고 불평불만, 분노, 욕설 등을 한 적이 있는가?
⑦ 음식을 과도하게 탐하여 자신의 품위를 떨어뜨리고 건강을 해친 적이 있는가?
⑧ 남이 잘되는 것을 싫어하여 남을 비방한 적이 있는가?
⑨ 게으름으로 할 일을 미루고 하지 않은 적이 있는가?

십자가의 길

교회의 모범이시요 어머니이신 성모 마리아

카톨릭 신자들이 지켜야할 여섯가지 의무

능동적인 참여를 위한 미사해설

카톨릭 을 알려 드립니다

천주교 신자가 되려면